<천재교과서> 초등학교 음악 3

악보

덕석몰기

출처:천재교과서

덕석몰기

  • 악곡파일명

    천재교과서 초등학교 음악 3, 덕석몰기.mp3

정의

강강술래 부수놀이의 하나로 덕석을 마는 모습을 묘사한 놀이 때 부르는 노래.

구전지역

전남 진도군 지산면 독치

해설

<덕석몰기>에서 ‘덕석’은 곡식을 말릴 때 깔던 짚으로 만든 도구이며 멍석의 전라도 사투리이다. 덕석을 말아놓은 모양을 흉내 낸 ‘덕석몰기’ 후에는 말린 덕석을 풀어가는 놀이인 ‘덕석풀기’가 연결된다.

‘도′시라미’의 육자배기토리로 구성되어 있으나, 빠른 속도로 노래하기 때문에 꺾는 시김새가 사용되지 않아 ‘미라도′’의 3음만 사용된다. 3소박 4박의 자진모리장단에 맞으며, 1장단을 주고 1장단을 받지만 2장단을 메기고 받을 수도 있다.

악보

자장가

출처:천재교과서

자장가

  • 악곡파일명

    천재교과서 초등학교 음악 3, 자장가.mp3

  • 악곡파일명

    우리소리 원곡, 충북 음성 자장가.mp3

정의

아기를 재우면서 부르는 민요.

구전지역

충북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 선정3리

해설

<자장가>는 ‘자장자장 우리 아가’의 가사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며, 사이사이에 아이를 위한 가사를 노래한다. 노래 가사는 대개 4?4조이며, 음악적 형식이나 선율은 매우 단순하다. 교과서에 수록된 <자장가>는 경상도 지역에서 부르는 노래를 다듬은 것이다.

이 노래는 ‘레′도′라솔미’의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으며, 3소박 4박으로 느리게 노래하기 때문에 중중모리장단에 맞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창 시 장단 반주보다는 아이를 재울 때 하는 것과 같이 기본 박을 치면서 노래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독창으로 노래한다.

악보

아리랑

출처:천재교과서

아리랑

  • 악곡파일명

    천재교과서 초등학교 음악 3, 아리랑.mp3

정의

‘아리랑’이나 ‘아라리’ 등이 노래의 후렴에 넣어 부르는 민요.

해설

<아리랑>은 우리나라의 대표 민요로, 여러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다. 오늘날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감성을 가장 잘 드러내고, 우리 민족을 정서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겨레의 노래로 인식되고 있다.

경기도 지역의 민요인 이 노래는 1926년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로 사람들에게 알려진 통속민요이며, ‘본조아리랑’이라고도 불린다.

음계는 경기지역의 보편적인 음계 구조인 ‘솔라도′레′미′’의 5음음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도′’로 마치는 신경토리에 해당한다. 장단은 3소박3박의 세마치장단에 맞는다.

악보

월워리청청

출처:천재교과서

월워리청청

  • 악곡파일명

    천재교과서 초등학교 음악 3, 월워리청청.mp3

  • 악곡파일명

    우리소리 원곡, 경북 영일 월워리청청.mp3

정의

경상북도를 비롯하여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던 집단적 여성가무놀이.

구전지역

경북 영일군 홍해읍 북송리

해설

<월월이청청>은 ‘강강술래’와 매우 유사한 놀이요로, 지방에 따라 ‘월너리청청’ 또는 ‘널너리청청’?‘얼어리청청’?‘얼럴리청청’이라고도 하며, 주로 영덕?의성?포항?구미 등 경북지방에서 불린 노래이다. 보름달 아래서 여자들이 손을 잡은 채 원을 그리며 뛰는 놀이에서 부르던 노래이며,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노래는 3소박4박의 자진모리장단에 맞으며, 1장단을 메기면 1장단을 받는 방식으로 부른다. ‘도′라솔미’ 음계의 메나리토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