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속 우리소리
종료
2020-10-31 ~ 2020-11-21
진행중
2020-10-30 ~ 2021-03-01
종료
2020-07-16 ~ 2020-09-23
일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지루함을 달래고 일의 능률을
높이기 위한 노래로서, 일의 종류에 따라 농업, 어업,
토목건축, 벌목채취, 운반수송, 수공, 가사노동요로 나뉜다.
노동요가 매우 풍부한 것이 우리나라 민요의 큰 특징이다.
각종 의례를 치르면서 부르는 민요. 크게 장례요,
세시의례요, 그밖의 의례요로 나뉜다. 장례 때 민요를
부르는 풍습은 우리의 독특한 문화이며, 세시의례요를
통해서도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 잘 드러난다.
여럿이 모여 놀면서 부르거나 심심풀이로 부르는 민요.
명절 민속놀이에 따르는 노래가 많고, 잔치판에서 부르는
노래, 이런저런 일을 하면서 심심풀이로 부르는 노래,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도 유희요에 포함된다.
신세를 한탄하면서 부르는 민요. 인생살이의
괴로움이나 외로움을 노래로 표현함으로써 위로와
공감을 얻고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다.
컬렉션
우리소리를 찾아봅니다.교과서 속 우리소리
기증자 컬렉션
일찍이 공공기관과 뜻있는 분들이 나서서 사라져가는 우리소리를 모아왔습니다.